목록분류 전체보기 (79)
속도 < 방향

[last updated Jul 13, 2022] reference : 한빛미디어 혼공단, 오라클, 위키백과, planhoster, 메일리 ● 데이터베이스, DBMS의 개념 DataBase(데이터베이스) 란 특정 기업이나 조직 또는 개인이 필요에 의해 논리적으로 연관된 데이터를 일정한 형태로 정리해 놓은 것으로, 쉽게 말해 데이터 조직화되거나 구조화된, 통합하여 관리되는 자료의 집합을 의미한다. 줄여서 DB 라고도 표현한다. 보통 데이터베이스가 데이터베이스 자체로 존재하기보다는, 데이터베이스 관리자들은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를 하는데 이 소프트웨어를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 라고 한다. Oracle, SYBASE 등이 DBMS에 해당한다. 데이터베이스 자체만으로는 ..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합병정렬 합병정렬은 원소가 한개가 될 때까지 계속 반으로 나누다가 다시 합쳐나가며 정렬을 하는 방식이다. 합병 정렬은 버블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보다 훨씬 빠르고 간결하고 깔끔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합병정렬의 시간복잡도 상한선은 $nlogn$이다. 다른 정렬의 최소 상한선은 $n^2$이고, 이는 $nlogn$보다 크다. 합병정렬은 시간적으로 빠르지만 단점도 존재한다. 합병 정렬은 더 많은 공간(메모리)을 사용한다. 8개의 자료가 있다고 하면, 세 번을 나눈다. $log28$은 3이다. 그리고 그 한번을 실행할 때마다 자료를 n번씩 봐야했기 때문에 $nlogn$으로 표현할 수 있다. 합병 정렬은 병합하는 알고리즘을 포함한다. 실행시간으로 표현을 한다면,..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시간복잡도 앞서 배운 정렬을 진행할 때마다 시간이 소요되는데, 어떤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시간복잡도라고 한다. 물리적인 시간이 아닌, 주어진 n개의 값을 활용하여 일반화한 복잡도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연산 횟수를 세며 이것이 측정 단위가 된다. 알고리즘을 수행할 때 걸리는 시간을 기준으로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시간의 효율성이란 결국 알고리즘에서 비교와 교환 등이 일어날 때 연산자의 처리 횟수가 적다는 의미이며, 연산자의 처리 횟수가 적다는 건 시간의 복잡도가 낮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시간 복잡도가 낮을수록, 연산자의 사용 횟수가 적을수록 효율성이 높은 알고리즘이 된다. 예를 들어 버블 정렬이라면, 총 n개의 물체를 정렬할 때라고 가정..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선형탐색 우리가 원하는 자료를 탐색할 때 사용되는 알고리즘 중 선형 탐색(linear search)은 자료를 찾을 때까지 모든 자료를 탐색해야 하는 방법이다. 선형(linear)이라는 단어의 뜻 그대로, 선의 모양처럼 일직선을 그대로 따라 탐색하는 방법이다. 만약 리스트의 길이가 n이라면, 가장 최악의 경우에는 가장 마지막에 찾고자 하는 숫자가 있을 때, n-1번만큼 자료를 탐색해야한다. 보통 어떠한 정보도 없거나 자료가 정렬되어 있지 않을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보통 가장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하나씩 이동하며 탐색을 한다. 이런식의 무작위 탐색은 굉장히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탐색을 하기 전에 정렬이 필수적인 이유를 알 수 있다. 버블정렬 어릴 때 했던 게임 ..

reference : [도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https://velog.io/@mquat/OS-%EC%BB%B4%ED%93%A8%ED%84%B0-%EA%B5%AC%EC%A1%B0%EC%84%B1%EB%8A%A5 1.1 하드웨어의 구성 이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 메모리, 입력장치, 출력장치, 저장장치로 구성된다. 메인메모리를 제2저장장치, 하드디스크나 USB를 제2저장장치(보조기억장치) 라고 부른다. 중앙처리장치는 CPU라고 한다. 1.1 CPU와 메모리 CPU는 인간의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하는데, 명령어를 해석하여 실행하는 장치이다. 메모리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곳으로, 바이트 단위로 분할되어 있다. 1.2 입출력장치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등이 ..

reference : [도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4.1 유닉스와 리눅스 4.1.1 유닉스의 개발과 확산 유닉스가 만들어진 1960년대에만 하더라도 컴퓨터의 기능은 계산기에 불과했다. 이에, 효율적으로 운영체제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시도하였고 다중 사용자, 다중 프로세서, 다중 프로세스 기반의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것이 '유닉스'였다. AT&T에서 만든 유닉스의 철학은 '일관성과 단순함을 지향하는 운영체제'이다. 1970년대에 고안된 C언어는 어셈블리어로 번역하기 쉽고, 유닉스는 C언어로 다시 소스코드를 만들어 큰 인기를 끌었다. 이후 대부분의 컴퓨터 전공자들은 유닉스와 C언어를 배우게 되었다. 4.1.2 BSD 유닉스의 개발 캘리포니아대학교에서 유닉스 소스코드를 구입하여 수정했는데, 이 버전이 ..

reference : [도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3.1 커널과 인터페이스 커널(kernel)은 프로세스 관리, 메모리 관리, 저장장치 관리와 같은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모아놓은 것으로 자동차에 비유하자면 엔진에 해당한다. 자동차의 성능을 엔진이 좌우하듯, 운영체제의 성능은 커널이 좌우한다. 스마트폰의 운영체제에도 커널이 있는데, 구글의 안드로이드는 커널이 공개되어 있지만 애플의 iOS는 안드로이드와 달리 커널을 공개하지 않고 자사 제품에만 탑재한다. 둘 다 유닉스 커널을 기반으로 한다. 자동차 계기판이 엔진의 상태를 알려주듯, 운영체제에도 상태를 알려주는 인터페이스가 있다. 위의 그림처럼, 사용자와 응용프로그램에 인접하여 커널에 명령을 전달하고, 실행 결과를 사용자와 응용프로그램에 돌려주는 인터페이..

reference : [도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2.1 개요 구분 시기 주요 기술 특징 0기 1940년대 없음 진공관(0,1) 사용 1기 1950년대 카드 리더, 라인 프린터 일괄 작업 시스템 운영체제의 등장 2기 1960년대 초반 키보드, 모니터 대화형 시스템 3기 1970년대 후반 C 언어 다중 프로그래밍 기술 개발 시분할 시스템 4기 1980년대 PC 개인용 컴퓨터의 등장 분산 시스템 5기 1990년대 웹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 6기 2000년대 스마트폰 P2P 시스템 (메신저, 파일 공유) 그리드 컴퓨팅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 인터넷 2.2 초창기 컴퓨터 (0기, 1940년대) 최초의 컴퓨터인 에니악은 펜실베니아대학의 두 학생이 만들었다. 전선을 회로에 연결하여 제작되었고, 사람이 7시간동안 계..

reference : [도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1.1 일상생활 속의 운영체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는 PC를 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소프트웨어로, 소프트웨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한 번쯤 들어봤을 단어이다. PC에는 Windows, Mac, Linux 등의 운영체제가 있고, 스마트폰에도 운영체제가 쓰이는데 대표적으로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가 대표적이다. 조금 더 기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관리하며 사용자가 장비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장비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PC 뿐만 아니라 게임기에서 전원을 켜고 게임을 골라서 동작하도록 관리하는 시스템도 운영체제이다. 컴퓨터와 스마..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 알고리즘 컴퓨터는 우리가 컴퓨터에 입력한 자료를 컴퓨터의 처리과정을 통해 출력 형태로 만든다. 즉 명령어들의 순서상 처리가 필요한데 이를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마치 우리가 아침에 일어나서 양치하고, 밥을 먹고 옷을 입고 외출하는 과정처럼 순서대로 행동이 이루어지는 것과 비슷하다. 어떤 문제를 단계적으로 풀어가는 명령어의 집합이다. 하지만 순서를 잘못 놓는다든가, 비효율적으로 한다면 준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다. 그래서 효율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외출 경로를 바꾼다든가 하는 선택을 하는데, 알고리즘도 마찬가지이다. 알고리즘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한다면 시간과 공간적으로 훨씬 여유있게 명령어가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알고리즘은 효율성이 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