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81)
속도 < 방향
reference : [도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1.1 일상생활 속의 운영체제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OS)는 PC를 켜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소프트웨어로, 소프트웨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도 한 번쯤 들어봤을 단어이다. PC에는 Windows, Mac, Linux 등의 운영체제가 있고, 스마트폰에도 운영체제가 쓰이는데 대표적으로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애플의 iOS가 대표적이다. 조금 더 기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관리하며 사용자가 장비를 편리하게 사용하고 장비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PC 뿐만 아니라 게임기에서 전원을 켜고 게임을 골라서 동작하도록 관리하는 시스템도 운영체제이다. 컴퓨터와 스마..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 알고리즘 컴퓨터는 우리가 컴퓨터에 입력한 자료를 컴퓨터의 처리과정을 통해 출력 형태로 만든다. 즉 명령어들의 순서상 처리가 필요한데 이를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마치 우리가 아침에 일어나서 양치하고, 밥을 먹고 옷을 입고 외출하는 과정처럼 순서대로 행동이 이루어지는 것과 비슷하다. 어떤 문제를 단계적으로 풀어가는 명령어의 집합이다. 하지만 순서를 잘못 놓는다든가, 비효율적으로 한다면 준비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릴 것이다. 그래서 효율적으로 움직이기 위해 외출 경로를 바꾼다든가 하는 선택을 하는데, 알고리즘도 마찬가지이다. 알고리즘이 효율적으로 작동하도록 배열한다면 시간과 공간적으로 훨씬 여유있게 명령어가 작동될 수 있을 것이다. 좋은 알고리즘은 효율성이 좋..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 인공지능 (자연어처리) 우리는 소프트웨어를 작동하거나 컴퓨터 언어(프로그래밍 언어) 를 통해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하지만, 인간은 일상에서 컴퓨터 언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한다. 이것을 자연어 라고 부르는데, 컴퓨터가 이를 이해하도록 만들려면 자연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처리해야 한다. 가장 최초의 자연어 처리 프로그램은 1966년 조셉이 만든 ELIZA 라는 소프트웨어이다. ELIZA에서 사용하는 시스템을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이라고 하는데, 입력 받은 문자의 일부를 활용해 다시 사용자에게 반환해주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요즘은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하여 구현된 챗봇을 쉽게 만날 수 있다. 사람의 언어를 기계적으로 분석하여 컴퓨터가 이해할..
내가 상장사라면 분기보고서를 공시하느라 고생했을텐데 기업이 아니라 사람이라 다행인 것 같다. 내가 뭘했나 싶은 현타감을 느끼며 공개처형 당할 생각만 해도 끔찍하다. 그래서 나는 1분기동안 뭘했을까? 정량적으로 체크할 수 있는 것부터 보려고 하니 노션밖에 생각이 나지 않는다. 중간중간 구멍이 뚫렸지만 10주 가까이 되는 주간회고를 작성했고, 그 사이 취업을 했다. 배움의 기록도 꾸준히 남기고 있다. 특히 기록하는 습관이 가장 크게 달라졌다. 기록을 하니 이룬 게 없는 것 같으면서도 뭐라도 남은 기분이 든다. 작년말보다 접한 텍스트와 읽은 책, 경험이 많아졌으니 어찌됐든 훨씬 풍부한 인생을 살고 있는 건 맞는 것 같다. 또, 물욕이 많이 줄었다. 소비지향과 충동구매를 일삼던 내가 왜 이럴까 고찰해보니 지식욕..
건강 아침운동을 하면 퇴근하고 공부할 시간이 더 많아져서 좋다. 아직 잠들어있는 뇌를 근력운동과 유산소로 깨우는 것이 짜릿하다. 미라클 모닝은 잘 모르겠지만 내게 있어 아침운동은 미라클은 맞는 것 같다. 업무 정확히 어느 시점부터인지 모르겠지만, 언젠가부터 이해 안 되던 부분이 확실하게 이해가 되기 시작했다. 물론 여전히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암기가 아니라 이해를 하니 훨씬 내 것으로 만들기 쉬워졌다. 분야의 특성 상 하나를 배우면 수채화 물감이 번지듯 주변으로 확장되어가는 속도가 빠른 듯하다. 덕분에 OCR 구현도 해보고 pose estimation, word embedding, 거리추정 알고리즘, GAN, auto encoder, swin transformer, 이상치 탐지, 시계열 데이터 등 다양한..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 우리는 일상에서 쉽게 가상 현실(VR, Virtual Reality) 과 증강 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접한다. VR은 가상의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사람들이 실제로 그 상황에 들어와있는 것 처럼 느끼고 상호 작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인터페이스를 뜻한다. AR은 가상현실과 기본적으로 비슷한데, 사용자에게 기존의 주변환경과 분리된 전혀 다른 환경을 경험하게 하지 않고 현재의 환경 위에 영상, 게임 등의 효과를 입히는 기술이다. 간단한 형태로는 휴대폰을 통해 유튜브나 페이스북으로 3차원 공간을 둘러볼 수 있는데, 네모난 액정 안에 3차원 공간이 다 담긴다. 혹은 구글 카드보드나 삼성 기어, 오큘러..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 이미지 파일 추리물을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혹은 소싯적 TV 프로그램을 많이 봤다면 누구나 아는 프로그램이 있다. 바로 CSI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에서 자주 나오는 화면이 영상을 멈춰서 확대하는 장면이다. 위의 이미지를 확대하면,,? 현실은 다르다. 한정된 비트들로 이루어진 이미지를 확대하면 이렇게 이미지가 번지거나 깨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가 컴퓨터와 해온 상호작용들은 대체로 모니터, 키보드, 마우스 등으로 이루어졌다. (물론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하드디스크나 파일과 상호작용을 하는 빈도는 비교적 적다. '파일'은 무엇일까? 위의 사진은 'JPEG'의 확장명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파일들은 특정 비..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 16진수 사진 파일의 확장명인 jpg(jpeg)를 아는가? 모든 JPEG 파일의 첫 3byte는 이렇게 시작한다. 하지만 이렇게 10진수, 2진수만 사용하지는 않고 대체로 16진수 (hexadecimal) 를 사용한다. 0~9 다음부터 10~15의 숫자는 a,b,c,...f 등 알파벳으로 표현한다. 위의 숫자들을 2진수, 16진수로 나타내면 8bit 였던 걸 2bit로 구현할 수 있다. 하지만 ff, d8, ff 등으로 표현하지는 않고 16진수를 사용할 때는 관례적으로 빈 공간에 0x라는 것을 앞에 넣어서 위와 같은 표현으로 나타낸다. 16진수가 유용한 이유는 4bit 패턴과 완벽한 대응을 하기 때문이다. (2의 4제곱). 이를 활용하여 8bit나 1by..
edwith CS50강의를 보며 정리했습니다. ● ASCII 코드 컴퓨터가 숫자가 아니라 문자나 다른 것들을 나타내기 위해 하는 것이 있을까? 컴퓨터 업계에서는 숫자를 알파벳 문자에 대응시키는 표준 방법을 채택하였다. ASCII 는 아스키라고 읽으며 글자를 10진수로 대응하는 것이다. 우리가 '문자'를 표현하고 싶지만 컴퓨터는 '숫자'로만 언어를 처리하기 때문에 숫자를 글자로 변환하려면 비트 패턴으로 변환이 필요하다. 그럴 때 사용하는 것이 ASCII 코드이다. 알파벳 'A'는 65로 시작하는데, 2의 6제곱인 64까지 표기를 하고 그 이후에 시작하는 순서이다. 예를 들어 HI 라고 쓰고 싶다면, ASCII 코드로 숫자 72와 73을 나타내는 비트 패턴으로 전기신호를 보내 저장한다. 비단 문자뿐만 아니라..
시계열 데이터는 다양한 패턴으로 나타날 수 있다. 시계열 패턴은 추세(trend), 계절성(seasonality), 주기(cycle) 이렇게 세 가지 패턴으로 나뉘는데 보통 추세와 주기를 결합하여 추세-주기 성분으로 다룬다. 일반적으로 추세-주기 성분, 계절성 성분, 나머지 성분의 세 가지로 구성된다고 여겨진다. 6.1 시계열 성분 $y_t$ 는 데이터, $S_t$ 는 계절성성분, $T_t$ 는 추세-주기 성분, $R_t$ 는 나머지 성분이다. 덧셈 분해(additive decomposition) 에 대한 수식은 아래와 같다. $y_t = S_t+ T_t + R_t,$ 곱셈 분해(multiplicative decomposition) 에 대한 수식은 아래와 같다. $y_t = S_t\times T_t \t..